침구학

침구학

鍼 灸 學 

 

  

 2. 침의 종류

옛날에는 9종의 침이 있어 질병에 따라 각각 그에 해당하는 것이 적용되었던 것이다.『내경』 침구편에는 다음과 같이 씌어 있다.

 

9가지 침의 적응증[製九鍼法]   
『내경』에 “허(虛)하고 실(實)한 것을 제대로 치료하려면 9가지 침이 있어야 좋다”고 한 것은 각각 그 침에 해당한 적응증이 있기 때문이다.

주해에 머리와 몸에 열이 나는 데는 참침(참鍼)이 좋고,
분육(分肉)에 기가 몰린 데는 원침(圓鍼)이 좋으며,
경맥의 기가 허약한 데는 제침(제鍼)이 좋고,
열을 내리고 피를 빼며 고질병을 치료하는 데는 봉침(鋒鍼)이 좋으며,
곪은 것을 째어 피고름을 빼는 데는 피침(피鍼)이 좋고,
음양을 고르게 하며 갑자기 생긴 비증(痺證)을 없애는 데는 원리침(圓利鍼)이 좋고,
경락을 조절하고 통비(痛痺)를 치료하는 데는 호침(毫鍼)이 좋으며,
비증이 몸의 깊은 곳과 관절, 허리등뼈에 몰린 데는 장침(長鍼)이 좋고,
허풍(虛風)이 관절과 피부에 있는 데는 대침(大鍼)이 좋다고 씌어 있다.  
이것은 바로 침에 따라 각각 해당한 적응증이 있다는 것을 말한 것이다.

○ 침은 9가지가 있는데 아래와 같다.  

 

1. 참침(참鍼)   
길이는 1치 6푼이며 침 끝이 크고 예리하다. 주로 양기를 사(瀉)한다[영추].   
○ 너비는 5푼이고 길이가 1치 6푼이며 침 끝이 크고 예리하다. 주로 머리에 열이 있는 것을 치료한다.[역로].    

 

2. 원침(圓鍼)   
길이는 1치 6푼이고 침 끝이 달걀모양과 같이 생겼다. 분육의 사이를 스치기만 하고 기육(肌肉)을 상하지 않게 하며 분육에 몰린 기를 사한다[영추].   
○ 침 끝이 달걀모양과 같이 생겼는데 분육의 기병(氣病)에는 이 침을 쓰는 것이 좋다[역로].   

 

3. 제침(제鍼)   
길이는 3치 5푼이고 침 끝이 기장이나 조의 가스랑이와 같이 뾰족하다. 경맥을 눌러 들어가지 않게 하고 찔러서 경맥의 기를 제대로 돌게 한다[역로].
○ 경맥의 기가 허약한 데는 이 침을 쓰는 것이 좋다[역로].   

 

4. 봉침(鋒鍼)   
길이는 1치 6푼이고 침날은 세모꼴이다. 고질병을 치료한다[역로].   
○ 열을 내리고 피를 빼어 고질병을 치료한다[역로].   

 

5. 피침(피鍼)   
길이는 4치이고 너비는 2푼 5리이며 끝은 칼날과 같다. 크게 곪은 것을 짼다[역로].   
○ 일명 파침(破鍼)이라고도 하며 옹종(癰腫)을 째어 피고름을 빼는 데 쓴다[역로].

 

6. 원리침(圓利鍼)   
길이가 1치 6푼이고 굵기는 소꼬리털 같고 둥글며 예리하고 침날의 가운데는 약간 굵다. 갑자기 생긴 사기[暴氣]를 없앤다[역로].   
○ 침 끝은 털끝같이 가늘고 둥글며 잘 돌므로 음양을 고르게 하고 갑자기 생긴 사기를 없앤다[역로].   

 

7. 호침(毫鍼)   
길이는 3치 6푼이고 끝은 모기나 등에의 주둥이같이 날카로우며 천천히 놓고 오래 꽂아 둔다. 통비(痛痺)를 치료한다[역로].   
○ 침 끝은 모기나 등에의 주둥이 같은데 경락을 고르게 하고 통비를 없앤다[역로].   

 

8. 장침(長鍼)   
길이는 7치이고 침 끝이 예리하다. 오래된 비증을 치료한다[역로].   
○ 침 끝이 예리하므로 비증이 몸의 깊은 곳과 관절, 허리등뼈에 몰린 것을 없앤다[역로].   

 

9. 대침(大鍼)   
길이는 4치이고 끝은 못과 같으며 침날은 약간 둥글다. 장기의 물을 뺀다[역로].   
○ 쇄침(쇄鍼)이라고도 하는데 허풍(虛風)이 관절과 피부 사이에 있는 것을 치료한다[역로].   

옛날에는 이상 9종의 침이 있었으나 침구가 발전됨에 따라 침의 종류도 부단히 개선되어 근래에 와서는 보통 사용하는 것으로서 호침, 원침. 삼릉침. 피부침 등이 있다.

 

1. 참침

 

2. 원침

3. 제침

4. 봉침

5. 피침

6. 원리침

7. 호침

8. 장침

9. 대침

 

 

1) 호침

가) 호침의 길이 : 5푼부터 3치 5푼까지의 여러 가지가 있고 굵기도 26호, 28호, 30호, 32호 등의 여러 종류가 있다.

나) 호침의 구조 : 호침의 구조는 4개 부분으로 되어 있는데 가는 금사로 감은 부분, 즉 손잡이 부분을 침자루라 하고 침자루의 침날이 붇은 부분을 침근이라고 하며 침끝을 침첨이라 하고 침끝과 침근 사이를 침날이라 한다. 침끝은 아주 뽀족하지 않고 내부 조직에 대하여 파괴 작용을 일으키지 않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

다) 침관 : 호침은 침관을 사용하기도 하는데 침관은 기지(氣至)의 감각이 필요 없거나 처음 침을 놓을 때 수기가 비교적 능하지 못한 경우에 덜 아프게 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라) 침관 사용법 : 침관에 호침을 끼어 혈 위에 놓고 침자루 끝을 집게손가락의 손톱으로 가볍게 튕기면 침은 피부층 일정한 부위에 들어간다. 그 다음 침관을 들어올리고 일정한 수법을 진행한다.

 

2) 삼릉침

삼릉침은 삼각형으로 마치 창끝과 같이 생겼으며 세모가 나고 끝이 날카롭다. 주로 피를 빼는 데 많이 쓰며 광증에도 사용한다.

가) 삼릉침 놓는 법 : 침 놓는 손 가운뎃손가락에 침몸을 45도 각도로 기울여 잡고 90도 각으로 찌르면 침날이 약 2푼 정도 들어간다. 혈 부위에 따라 깊이를 달리한다.


 

3) 피부침
피부침은(소아침) 혹은(칠성침) 이라고 한다 이것은 6~7개의 가늘고 짧은 침을 연봉오리처럼 된 침자루 위에 간격을 맞추어 꽃아 쓴다. 대개 침을 무서워하는 어린이나 부인들에게 적용하며 마비증에 가볍게 두들겨 사용한다.
어린이에게 침을 놓을 때에는 얕게 찌르는데 약 1푼 깊이로 찌르며 10세 내외의 어린이는 2~3푼 깊이로 찌른다. 호침을 피부침으로 사용할 때에는 소독한 가제로 침대를 싸고 침끝은 1~2푼만 내놓고 가볍게 피부를 자극한다.
이외에 최근에는 부분적으로 전기 침도 있는데 침자루에 전극을 연결하고 약한 직류 전기를 통과시켜 자극을 강하게 한다.
또 일정한 약액을 주사기로 침혈에 주입하는 방법도 있는데 이것을 경혈 약침 또는 수침(水鍼)이라고 한다.
또 강하게 지압하는 형태의 자극 또는 원침(돌개침 -轉鍼)으로 피부 위를 자극하는 등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