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구학

침구학

鍼 灸 學 

 

  

 

 5. 경락(經絡)과 경혈(經穴)의 명명(命名)

 

1. 경락(經絡)의 명명(命名)

○ 경락(經絡)은 대부분이 음양(陰陽)으로 명명되어 있다. 우주(宇宙)의 만물(萬物)은 어느 것이나 음양의 양면으로 개괄(槪括)할 수 있는 것이다.
○ 음양양자간(陰陽兩者間)에는 상호간에 연계되고, 상호간에 대립하여, 상호존재하는 관계가 있고, 그로 인하여 만물은 통일체가 되고 있는 것이다.
○ 경락의 명명은 음양(陰陽) 양자간(兩者間)에 있다 일양일음의 관계에 의거하여, 그것을 또다시 삼음삼양의 표리상합관계로 전개하여 형성된 것이며, 음양의 기혈성쇠(氣血盛衰)(多少)에서 구분되고 있다.
○ 즉 음기가 가장 성왕(盛旺)한 것은 태음(太陰), 그 다음은 소음(少陰), 그 다음은 궐음(厥陰), 양기(陽氣)가 가장 성왕(盛旺)한 것은 양명(陽明), 그 다음은 태양(太陽), 그 다음은 소양(少陽)이다.

 

 

 

태음(太陰) -------- 양명(陽明)

 

 

 음(陰)

소음(少陰) -------- 태양(太陽)

양(陽)

 

궐음(厥陰) -------- 소양(少陽)

 

 

○  상기한 삼음삼양의 명칭은 경락의 명명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 상지내측(上肢內側)에는 수(手)의 삼음(三陰)은 수태음(手太陰), 수소음(手少陰), 수궐음(手厥陰)이며,
○ 상지외측(上肢外側)에는 수(手)의 삼양(三陽)은 수양명(手陽明), 수태양(手太陽), 수소양(手少陽)이며,
○ 하지외측(下肢外側)에는 족(足)의 삼양(三陽)은 족양명(足陽明), 족태양(足太陽), 족소양(足少陽)이며,
○ 하지내측(下肢內側)에는 족(足)의 삼음(三陰)은 족태음(足太陰), 족소음(足少陰), 족궐음(足厥陰)이며,
○ 사지(四肢)와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사지의 특히 주ㆍ슬관절(膝關節)에서 말단의 혈은 역대의 침구가가 중시해 내려온 것이다.  

○ 장부학설로는 장(臟)은 음(陰)에 속하여, "정기(精氣)를 장(藏)하고 사(瀉)하지 않다.",  부(腑)는 양(陽)에 속하여, "물(物)을 전달소화(傳達消化)하여 장(藏)하지 않다."라고 한다.
○ 음경(陰經)은 장에 속하여 부에 경락하고, 양경(陽經)은 부에 속하여 장에 경락함으로써 장과 부는 연결하고, 음과 양, 장과 부간의 표리상합관계(表裏相合關係)가 구성되어 있다.

○ 장부학설로는 장이 주가 된다.
○ 장중에서 흉부(胸部)에 위치하는 것은 폐(肺), 심(心), 심포(心包)로 手의 음경과 연계하며,
                 복부(腹部)에 위치하는 것은 비(脾), 간(肝), 신(腎)으로 足의 음경과 연계하고 있다.

○ 육부는 각 표리상합관계(表裏相合關係)에 의거하여 음경과 연결되어 있다.
○ 수족(手足)의 양경은 모두 두부(頭部)에 분포해 있으며, 이와 같이하여 手足의 음양경(陰陽經)과 두부(頭部), 안면(顔面), 흉복부간(胸腹部間)에는 특정관계가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手의 음경(陰經) -------- 흉부(胸部)

足의 음경(陰經) -------- 복부(腹部)

手足의 양경(陽經) ------ 두부(頭部)

 

○ 手의 삼음은 흉(胸)에서 手에 주행하고 ===> 手의 삼양은 手에서 두(頭)에 주행하고 ==>
○ 足의 삼양은 두(頭)에서 足에 주행하고 ===> 足의 삼음은 足에서 복(腹)에 주행한다.

○ 이것은 인체(人體)의 기혈운행(氣血運行)은 경맥(經脈)에 연(沿)하여 운행되고, 음양이 상통(相通)하고 끝없이 순환(循環)하고 있다는 것을 정시(呈示)한다.  경맥의 주행과 연계장부에서 십이경맥의 명명을 알 수 있다.

 

 

 

 

수태음폐경(手太陰肺經)  ------ 수양명대장경(手陽明大腸經)

 

 

  手의 삼음경(三陰經)

수소음심경(手少陰心經) ------- 수태양소장경(手太陽少腸經)

  手의 삼양경(三陽經)

 

수궐음심포경(手厥陰心包經) --- 수소양삼초경(手少陽三焦經)

 

 

 

   족태음비경(足太陰脾經) ------- 족양명위경(足陽明胃經)

  

 

  足의 삼음경(三陰經)

   족소음신경(足少陰腎經) ------- 족태양방광경(足太陽膀胱經)

  足의 삼양경(三陽經)

 

   족궐음간경(足厥陰肝經) --------족소양담경(足少陽膽經)

 

 

 

2. 경혈(經穴)의 명명(命名)

중의학(中醫學)의 해부지식(解剖知識)과 기본이론(其本理論)을 응용(應用)한 명명(命名)  

 

1) 해부명사(解剖名詞)에 기인한 명명
○ 경혈을 해부지식(解剖知識)과 기본이론 소재부위의 해부명사를 이용한 명명방법이다.
○ 수근부(手根部)의 두상골(豆狀骨)의 부위의 완골혈(脘骨穴),
○ 이후(耳後)의 유양돌기부위(乳樣突起部位)의 완골혈( 完骨穴),
○ 음모(陰毛)언저리의 치골결합(恥骨結合) 부위의 곡골혈(曲骨穴),
○ 음부(陰部)와 항문(肛門)사이의 회음혈(回陰穴),
○ 하악골교근조면하연(下顎骨咬筋粗面下緣)의 대영혈(大迎穴),
○ 하악각전상방(下顎角前上方)의 협거혈(頰車穴),
○ 외후두융기양측(外後頭隆起兩側)의 옥침혈(玉枕穴),
○ 쇄골상와(鎖骨上窩)의 결분혈(缺盆穴) 등은 고대의 해부명사로 명명된 것이다.

 

2) 소재부위의 해부적특징과 결부된 명사로 명명된 것.
○ 두부(頭部)의 대천문(大泉門)의 부위에 있는 신회혈(신會穴),
○ 유방하방(乳房下方)의 유근혈(乳根穴),
○ 견단(肩端)의 견우혈(肩隅穴)(우란 肩前의 意味이다), 견료혈(肩료穴)(료는 骨孔이나 空隙을 指稱한다) 등이 그것이다.

 

3) 경혈의 생리기능(生理幾能)에 기인한 명명
○ 기문혈(其門穴)의 '期'란 일주기(一周期)인 것이며, 인체의 기혈은 운문(雲門)에서 출발하여, 폐(肺), 대장(大腸), 위(胃), 비(脾), 심(心),  소장(小腸), 방광(膀胱), 신(腎), 심포(心包), 삼초(三焦), 담(膽), 간(肝)을 순행하여 간경의 기문(期門)으로 일주를 끝나고, 또 운문(雲門)에서 시작하기 때문에, 기문(期門)이라 명명된 것이다. 따라서 기문이란 인체의 경기가 순환왕복하고 있는 것을 정시(呈示)하고 있다.
○ 그리고 소장은 청탁을 분별하는 생리기능을 지니고 있으나, 임맥(任脈)의 수분혈(水分穴)은 하완혈(下脘穴)의 아래 1촌에 있어서 소장의 하구(下口)에 위치하므로, 수분이라 명명된 것이다.

 

4) 병리적변화(病理的變化)에 기인한 명명
○ 풍문혈(風門穴)은 감기(感氣)가 침입하는 문호(門戶)이며, 풍부(風府), 풍지(風池)도 감기(感氣)가 침입하는 위치이다.
○ 그리고 불용(不容), 승만(承滿), 양문(梁門), 관문(關門), 석문(石門) 등의 혈도 병리적변화를 형용한 것이다.

 

5) 특수한 치료효과에 기인한 명명
정신병(精神病)을 주치하는 신문(神門), 혼문(魂門),
수사(水邪), 부종(浮腫)을 주치하는 수도(水道), 수분(水分),
안질(眼疾)을 주치하는 청명(晴明), 광명(光明), 승광(承光), 사백(四白),
코(鼻)의 질환을 주치하는 영향(迎香), 통천(通天),
귀(耳)의 질환을 주치하는 청회(聽會), 이문(耳門),
풍병(風病)을 주치하는 풍지(風池), 풍부(風府) 등이 있다.

 

6) 인체의 부위의 속성에 의거한 명명
○ 양지(陽池), 양계(陽谿), 양곡(陽谷), 요양관(腰陽關), 양릉천(陽陵泉), 지음(至陰), 음극(陰隙), 음곡(陰谷), 음교(陰交), 음릉천(陰陵泉), 음포(陰包), 음도(陰都) 등의 혈은 어느것이나 "내(內)는 음(陰)하여지고, 외(外)는 양(陽)해지고, 복(腹)은 음(陰)해지고, 배(背)는 양(陽)해지고, 족(足)은 음(陰)해지고, 수(手)는 양(陽)해진다." 라는 이론적근거(理論的根據)에 의거하여 구분된 것이다.

 

7) 장부경락학설의 이론에 기인한 명명
○ 배부(背部)의 각유혈(各兪穴)은 어느 것이나 경기가 운행하여 주입하는데 의거하여 명명된 명칭이며, 유부(兪府)혈은 족소음신경의 경맥의 순행이 족(足)에서 흉부(胸部)에 이르러, 이 부위에서 회취(會聚)하므로 명명된 혈명이다.

경맥의 교회(交會)에 기인하여 명명된 것으로는 삼음교(三陰交), 백회(百會)등 있다.
장부이론의 오장(五臟)과 오지(五志)의 관계에 의거하여 명명된 것으로는 신당(神堂), 백호(魄戶), 지실(志室), 의사(意舍), 혼문(魂門) 등이 있다.
혈기(血氣)에 기인한 명명에는 기호(氣戶), 기혈(氣穴), 기해(氣海), 기사(氣舍), 혈해(血海) 등이 있다.

"인(人)은 전지(天地)와 상참(相參)하고", "인(人)은 일월(日月)과 상응(相應)한다"라는 논점(論点)을 이용한 명명

고대인(古代人)들은 체내의 기혈(氣血)의 운행(運行)과 자연계의 수류(水流)며 일월(日月)의 운행이상(運行理象)을 결부하여, 비유법(比喩法), 상형법(象刑法), 회의법(會意法), 사실법(寫實法)을 응용하여 경혈의 명칭을 정하고, 경혈의 위치며 기능을 보다 정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힘써 왔다.

 

1) 비유법(比喩法)에 의한 명명
○ 361 경혈중, 천문(天文), 지리(地理), 수류(水流), 산곡(山谷) 등의 단어를 이용하여 명명한 것을 수많이 볼 수 있다.
○ 인체의 경맥순행의 류수(流水)와 흡사하므로,
천(泉), 지(池), 택(宅), 海(海)라는 등의 단어로 인체의 혈을 비유한 것이 많다.
○ 수천(水泉), 양지(陽池), 척택(尺澤), 소해(少海)등은 좋은 예이다.
○ 그리고
산(山), 해(海), 구(丘), 릉(陵)이라는 등의 대자연의 용어를 빌어 명명된 것이다.
○ 고대의 의가는 일부의 혈의 상(狀)이 대자연과 유사하다는 것에 착목(着目)하고, 그것들에 승산(承山), 기해(氣海), 구허(丘墟), 상허(商墟), 양릉천(陽陵泉) 등의 명칭을 부여하였다.

○ 인체의 골격이며 근육의 일부로 함몰(陷沒)한 부위는 얕은 연못이며 깊은 우물에 닮았으므로, 곡(谷), 계(谿), 구(溝), 독(瀆) 등의 한자가 표기되었다.
지(池)로는 곡지(曲池), 양지(陽池) 등,
정(井)으로는 견정(肩井), 천정(天井) 등,
곡(谷)으로는 합곡(合谷) 등
계(谿)로는 태계(太谿), 후계(後谿), 양계(陽谿), 등
구(溝)로는 지구(支溝),
독(瀆)으로는 사독(四瀆) 등의 혈명을 볼 수 있다.

○ 더욱이 경혈은 경기가 취합하는 부위이므로, 건축물이며 생활공간을 표시하는 한자를 응용하여 명명된 것도 있다.
부(府), 사(舍), 고(庫), 문(門)이라고 하는 한자를 응용하여,
유행출입(游行出入)을 표시한 것으로, 중부(中府), 기호(氣戶), 고방(庫房), 운문(雲門), 신문(神門) 등,
도(道), 리(里)는 경기의 경과를 표시한 것으로, 수삼리(手三里), 족삼리(足三里), 오리(五里), 신도(神道) 등,
실(室), 사(舍), 궁(宮), 정(庭)은 경기의 유주(留住)를 표시한 것으로, 기사(氣舍), 지실(志室), 옥당(玉堂), 대도(大都), 지창(地倉), 청궁(聽宮), 내정(內庭) 등이 있다.
천문(天文)이며 기상을 응용하여 경혈의 기능의 후징(後徵)을 표시한 것으로는
일월성신(日月星辰)의 명칭인 일월(日月), 상성(上星), 태백, 태을(太乙),
기상(氣象)의 명칭인 풍지(風池), 운문(雲門),
뢰광(雷光)을 표시하는 열결(列缺),
뢰명(雷鳴)을 표시하는 풍륭(風隆) 등이 있다. 풍륭(風隆)은 비습(脾濕)하여 담(痰)이 생(生)하고, 담음(痰音)이 뢰명(雷鳴)과 같이 울려대는 것을 치료하므로 부여된 명칭이다.

 

2) 형상법(形狀法)에 의한 명명
경혈의 소재부위의 외형에서 생물(生物)이며 기구(機具)를 부합시켜 명명한 것으로, 구미(鳩尾), 어제(魚除), 독비(犢鼻), 복토(伏兎), 찬죽(竹), 천정(天鼎) 등이 그것에 해당한다. 이와 같이 혈의 특징을 생생하게 반영한 혈명은 기억하기에 참으로 좋다.

 

3) 회의법(會意法)에 의한 명명
경혈의 소재부위의 생리기능(生理幾能)의 특징을 회의법(會意法)을 응용하여 경혈의 명칭상에 반영시킨 것이며, 청궁(聽宮), 청회(聽會), 노궁(勞宮), 승읍(承泣), 영향(迎香), 청명(晴明), 관원(關元) 등이 그 예로 들 수 있다.

 

4) 사실법(寫實法)에 의한 명명
경혈의 소재부위 및 기 주치작용의 특징은 사실법(寫實法)을 응용하여 경혈의 명칭상에 반영시켜, 학습(學習)이며 기억(記憶)에 편리하게 한 것이다.
○ 혈해(血海)혈은 동혈(同穴)에의 침구(鍼灸)가 활혈화어(活血化瘀), 인혈귀비(引血歸脾)를 꾀하고, 월경불순(月經不順), 무월경(無月經), 부정출혈(不正出血)을 치료할 수 있으며, 흡사강하백천(恰似江河百川)이 대해(大海)에 유입하는 것 같으므로 혈해(血海)라 명명된 것이다.
○ 또 아문(아門)혈은 설운동장해(舌運動障害)로 인한 언어장해(言語障害)를 주치하고, 아(啞)의 치료에 있어서 관건이 되는 문이기 때문에 명명된 호칭이다.
○ 이상의 경혈의 명명법을 합하여 보면, 고대인들의 경혈에 대한 명명에는 일정한 도리(道理)가 있다는 것이 명확하다.
○ 그것은 당대(唐代)의 손사막(孫思邈)의 '천금익방(千金翼方)'에 '대개의 제공혈(諸孔穴)은 명칭이 헛되이 설정한 것이 아니다'라고 기록된 바와 같다.
○ 그러나 십사경맥의 361혈은 1종류의 방법으로 명명된 것이 아니고, 여러 종류의 명명법을 구성하여 명명된 것이다.
○ 이를테면 음릉천(陰陵泉)혈을 예로 든다면, '음(陰)'은 내측이므로 동혈이 슬내측에 있다는 것을 정시하고, '릉(陵)'은 구릉의 의미이므로 동혈(同穴)이 슬의 융기한 부위에 있다는 것을 정시한 것이다.
○ 또 '천(泉)'은 동혈이 합혈(水)에 속하고, 비(脾)는 음중의 음에 있으며, 혈의 부위에 함요(陷凹)한 곳이 있으므로 음릉천(陰陵泉)혈은 명명된 것이다. 양릉천(陽陵泉), 곡천(曲泉), 복애(復哀) 등은 모두 동일한 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