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초학

본초학

 

 升 降 浮 沈

  

 

 ◈ 승강부침(升降浮沈)

 

○ 질병(疾病)은 인체의 기(氣)가 상승(上升)함으로써 비롯되는 것도 있고 기(氣)가 하강(下降)함으로 비롯되는 것도 있다.

 

○ 질병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본초(本草)에는 인체의 기(氣)를 상승(上升)시키는 작용을 하는 본초(本草)가 있는가 하면 하강(下降) 시키는 작용을 하는 본초(本草)도 있다.

 

○ 상승작용을 일으키는 본초를 승성약(升性藥)이라 하고, 하강작용을 일으키는 본초를 강성약(降性藥)이라 한다.

 

많은 약물 가운데는 약에 따라 승강부침의 작용이 있다. 승(升)은 위로 상승하고, 강(降)은 아래로 하강하며, 부(浮)에는 발산과 퍼짐의 뜻이 있고, 침(沈)은 삼설과 잠김의 의미를 지닌다. 그러므로 승(升)하고 부(浮)하는 약물은 상행(上行)하여 양(陽)에 속하니 인상발산되어 발한 구풍의 작용을 주로 한다. 또 강(降)하고 침(沈)하는 약물은 약력이 주로 하행(下行)하여 음(陰)에 속하고 양을 진정시키는 작용이 있어서 상역을 내려 주고 수렴 삼리 사하 등의 작용이 있다.

 

약의 승강부침은 기미와 질의 경중과의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다. 즉 기미론적으로 관찰할 때 신, 감, 온, 열성의 약물은 대개 부하고 승하는 작용이 있다. 그러나 고, 산, 함, 한, 량의 약성을 가진 약물들은 침하고 강하는 작용이 있다.

 

승(升)과 부(浮)

양(陽) = 발표(發表), 최토(催吐), 산한(散寒), 거풍(祛風), 개규(開竅)
대개는 온열한 약,  맵거나, 달거나 , 싱거운 맛, 꽃이나 잎부위나 실질이 가벼운 것

 

강(降)과 침(沈)

음(陰) = 하행(下行), 수렴(收斂), 설사(泄瀉), 안신(安神)

대개는 한량한 약, 시거나, 쓰거나, 짠맛, 씨, 열매, 실질이 무거운 것

 

1. 승성약(升性藥)

기(氣)를 상승시켜 발산시키고 이(裏)를 덥게 하는 등의 작용을 한다.

위하수, 탈항, 탈장, 자궁탈수 등에 사용한다.

승마(升麻), 황기(黃耆), 시호(柴胡), 박하(薄荷), 천궁(川芎), 원지(遠志)

 

2. 강성약(降性藥)

상기(上氣)된 승기(升氣)를 강하(降下)시켜 주는 약물로 수렴(收斂), 사하(瀉下), 이뇨(利尿) 등의 작용을 한다.

황련(黃連), 황금(黃芩), 대황(大黃), 우슬(牛膝), 상백피(桑白皮), 목통(木通), 작약(芍藥)

 

3. 승강성약(升降性藥)

승성(升性)과 강성(降性)의 이중작용이 있는 약물로 승기(升氣)는 내려주고, 강기(降氣)는 올려주는 작용을 한다.

창출(蒼朮), 반하(半夏), 당귀(當歸), 지실(枳實), 감초(甘草)

 

부승약제(浮升藥劑)-떠오르고, 솟고, 퍼지는 약제(藥劑)

일반적으로 꽃(花), 잎(葉), 껍질(皮), 가지(枝)는 대체적으로 가벼워 부승(浮升)하는 성질(性質)이 있다.

☞ 국화(菊花), 상엽(桑葉), 연교(連翹), 상지(桑枝)등

 

침강약제(沈降藥劑)-떨어지고 뭉치는 약제(藥劑).

일반적으로  종자(種子), 과실(果實), 금석(金石), 패류(貝類)등은 질(質)이 무거워 침강(沈降)하는 성질(性質)이 있다.

☞ 소자(蘇子), 지각(枳殼), 자석(磁石), 석결명(石決明)등

※ 모든 꽃의 성질(性質)은 상승(上昇)하지만 선복화(旋覆花)만은 하강(下降)하며,

※ 모든 종자(種子)는 성질(性質)이 하강(下降)하지만 창이자(蒼耳子)만은 상승(上昇)한다.

※ 길경(桔梗)은 약성(藥性)을 이끌고 상행(上行)하고, 우슬(牛膝)은 약성(藥性)을 이끌고 하행(下行)한다.

 

많은 약물(藥物)은 약(藥)에 따라 승강부침(升降浮沈)의 작용이 있어 승(升)은 위로 상승(上升)을 하고 강(降)은 아래로 하강(下降)을 하며 부(浮)에는 발산(發散)의 뜻이 있고 침(沈)은 삼설(渗泄)의 의미를 지닌다.

 

 승부(升浮)

 상승(上升), 발한(發汗), 구풍(驅風), 인상부(引上部) - 양(陽)

 예 : 형개(荊芥), 승마(升麻), 시호(柴胡), 갈근(葛根), 박하(薄荷), 황저(黃儲)

     

 강침(降沈)

 상역(上逆)을 내려주고 수렴(收斂), 삼리(渗利), 사하(瀉下), 하부(下部)에 작용 -음(陰)

 예 : 우슬(牛膝), 목통(木通), 상백피(桑白皮), 황금(黃芩)

 

※ 기미론적(氣味論的)으로 관찰할 때 신감(辛甘), 온열성(溫熱性)의 약성(藥性)은 대개 승부(升浮)하며 고산함(苦酸鹹), 한양성( 寒凉性)의 약물(藥物)은 침강(沈降)하는 작용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