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초학

본초학

 

동의보감(東醫寶鑑)
집례(集例) » · 역대의서(歷代醫書) » · 인용도서목록 »

내경편(內景篇)
신형(身形)
» · 정(精) » · 기(氣) » · 신(神) » · 혈(血) »
꿈(夢)
» · 목소리(聲音) » · 언어(言語) »
진액(津液)
» · 담음(痰飮) »

5장 6부(五臟六腑) »
간장(肝臟)
» · 심장(心臟) »
비장(脾臟)
» · 폐장(肺臟) » · 신장(腎臟) »
담부(膽腑)
» · 위부(胃腑) » · 소장부(小腸腑) » · 대장부(大腸腑) »
방광부(膀胱腑)
» · 3초부(三焦腑) » · 포(胞) »

충(蟲) » · 오줌(小便) » · 대변(大便) »

외형편(外形篇)
머리(頭)
» · 얼굴(面) » · 눈(眼) » · 귀(耳) » · 코(鼻) »
입과 혀(口舌)
» · 이빨(牙齒) »

목구멍(咽喉) » · 목(頸項) » · 잔등(背) »
가슴(胸)
» · 젖(乳) » · 배(腹) » · 배꼽(臍) »
허리(腰)
» · 옆구리(脇) »

피부(皮) » · 살(肉) » · 맥(脈) » · 힘줄(筋) » · 뼈(骨) » 배꼽
손(手)
» · 발(足) » · 머리털(毛髮) »
생식기(前陰)
» · 항문(後陰) »

잡병편(雜病篇)
천지운기(天地運氣)
»
병의 원인을 찾는 방법(審病)
» · 병증을 가리는 방법(辨證) »
맥을 보는 방법(診脈)
»
약을 쓰는 방법(用藥) »
구토시키는 방법(吐)
» · 땀을 내는 방법(汗) » · 설사시키는 방법(下) »

풍(風) » · 한(傷寒) » · 서(暑) » · 습(濕) » · 조(燥) » · 화(火) »
내상(內傷)
» · 허로(虛勞) »
곽란( 亂)
» · 구토(嘔吐) » · 기침(咳嗽) »

적취(積聚) » · 부종(浮腫) » · 창만(脹滿) »
소갈(消渴)
» · 황달(黃疸) » · 학질( 疾) » · 온역(瘟疫) »
사수(邪수)
» · 옹저(癰疽) »

여러 가지 창종(諸瘡) » · 여러 가지 외상(諸傷) »
해독(解毒)
» · 구급(救急) »
괴상한 병(怪疾)
» · 잡방(雜方) »
부인병(婦人)
» · 어린이병(小兒) »

탕액편(湯液篇)
탕액편 서문(湯液序例)
»
약으로 쓰는 물(水部)
» · 약으로 쓰는 흙(土部) »
약으로 쓰는 곡식(穀部)
» · 인부(人部) »
약으로 쓰는 새(禽部)
» · 약으로 쓰는 짐승(獸部) »
약으로 쓰는 물고기(魚部)
» · 약으로 쓰는 벌레(蟲部) »
약으로 쓰는 과실(果部)
» · 약으로 쓰는 채소(菜部) »
약으로 쓰는 풀(草部)
» · 약으로 쓰는 나무(木部) »
약으로 쓰는 구슬(玉部)
» · 약으로 쓰는 돌(石部) »
약으로 쓰는 쇠돌(金部)
»

침구편(鍼灸篇)
침과 뜸(鍼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