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초학

본초학

 

본초(本草)의 기초지식   

 

1. 본초의 성능(性能)
 
▷ 질병 치료의 기본 원리
① 병사의 제거
② 병인의 제거
③ 장부 상호간의 기능적인 협조 유발
④ 음양의 편재 제거와 과부족의 조정
* 건강을 회복할 수 있는 최고의 상태(태극 현상)를 만들어 주는데 있음.
 
▷ 한약의 성능
① 한약이 가지고 있는 위와 같은 능력을 성능(性能)이라고 한다.
② 사기(四氣), 오미(五味), 승강부침(昇降浮沈), 귀경(歸經), 칠정(七情) 및 독성(毒性)의 유무 등.
 
 
2. 사기(四氣)와 오미(五味)
 
(1) 四   氣
四氣란 약물을 인체에 투약했을 때 인체가 나타내는 반응을 가리키므로 병성(病性)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 온열약(溫熱藥)과 한량약(寒凉藥)
 
①온열약
- 장부 경락을 따뜻하게 하는 약
- 정(正)의 효과: 혈색이 좋아진다, 목소리에 힘이 있다, 다뇨 및 빈뇨가 낫는다, 식욕이 생긴다. 설사가 낫는다 등.
- 부(負)의 효과: 부스럼이 생긴다, 잠이 오지 않는다, 눈꼽이 낀다, 소변을 잘 보지 못한다, 변비가 생긴다 등
- 긴장, 흥분, 항진, 강심, 충혈, 보온, 조혈, 염증 발현 및 조혈 효과가 있음.
② 한량약
- 장부 경락을 차게 하는 약
- 정(正)의 효과: 얼굴에 붉은 기가 없어진다, 소변을 잘 나오게 한다, 식욕을 억제시킨다, 부스럼을 낫게 한다, 잠을 잘 오게 한다, 눈꼽이 끼지 않게 한다, 변비를 낫게 한다 등.
- 부(負)의 효과: 다뇨나 빈뇨가 생긴다, 밥맛이 없다, 설사를 한다, 대하가 생긴다, 냉증이 나타난다 등.
- 완화, 진정, 쇠퇴, 산혈, 산열, 위축, 소염, 강압 및 심장 기능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음.,
★ 온열약은 교감신경 작동성 약으로,
   한량약은 부교감신경 작동성 약으로 해석할 수도 있음.
★ 한(寒)과 량(凉), 온(溫), 열(熱)은 상대적인 것으로 정도의 차가 있을 뿐이고 본질적인 차이는 없음.
★ 평(平)은 한열에 속하지 않는 것으로 대부분 작용이 완화한다.
 
(2) 五味( 五色 )
 
藥物이 가지고 있는 酸,苦,甘,辛,鹹 5種의 味로 各各의 味는 서로 다른 作用을 갖는다.
오미(五味)도 음(陰)과 양(陽)의 어느 한 쪽으로 분류됨.
   + 신(辛), 감(甘), 담(淡) : 양(陽)
   |
   + 산(酸), 고(苦), 함(鹹) : 음(陰)
 
1) 오미(五味)의 작용
⊙ 신(辛)- 산(散), 행(行) : 發散, 行氣, 行血
           마황, 박하, 자소 등의 표증약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예외) 생강(辛溫)-산한, 목향(방향성)-행기, 홍화(어혈제)-활혈
⊙ 감(甘)- 보(補), 화(和), 완(緩) : 補益, 和中, 緩急
          인삼,황기는 보기, 숙지황은 보혈로 보허약이나 강장약의 작용이 주종을 이루고 있음.
         예외) 감초-화중, 완급지통, 완화약성, 완해독성.
⊙ 산(酸)- 수(收), 삽(澁) : 수렴, 固澁
           오미자는 수렴지한에, 오배자는 삽장지사에 그리고 금앵자는 삽정지유에 쓴다.
⊙ 고(苦)- 설(泄,降,瀉), 조(燥), 견(堅) : 淸熱, 瀉下, 瀉火, 燥濕, 降逆
      -설: 대황-통설-열결변비(熱結便秘), 행인-강설-해수,
            치자-청열-열성심번(熱盛心煩)
      -조(濕證): 寒濕-溫性인 고미약-창출, 溫熱-寒性인 고미약-황련
      -견(음을 견실하게 해줌) : 腎陰의 휴손에 의한 陰虛火旺-황백, 지모  
⊙ 함(鹹)- 하(下), 연(軟) : 軟堅, 散結, 瀉下
           망초-연견사하, 모려-소견, 소나력, 담핵
※ 일반적으로 담미(淡味)는 甘味로 분류되고, 삽미(澁味)는 酸味로 분류함.
⊙ 담(淡)- 삼(渗), 이(利) : 渗利水濕, 通利小便
           복령, 저령- 水腫, 小便不利
⊙ 삽(澁)- 수렴고삽(收斂固澁)
          용골-허한, 설사, 빈뇨, 滑精, 출혈 등,  
          모려-澁精  적석지-澁腸止瀉
 
2) 오미의 기원
- 반드시 味覺에 의한 것이 아니고, 약물에 대한 인체의 반응에 따라 선택적으로 정함.
   예) 오미자는 酸,苦,甘,辛,鹹의 오미가 있지만 약으로서의 맛은 산(酸)임.
- 약물의 성능을 이해하려면 기(氣)와 미(味)를 참조해야 함.
   예)  마황과 세신: ━┳━공통점 : 辛溫-해표산한(解表散寒)
                               ┃               
                               ┗━차이점 : 마황-진해,  세신-진통
- 氣味가 다르면 효능도 다르다.
- 氣가 같지만 味가 다른 약물은 효능 또한 다르다.
    예) 산수유, 행인, 황기, 자소 : 온성약(溫性藥)
         차이점 : 산수유-산온(酸溫)-固精澁尿, 행인-고온(苦溫)- 降氣止咳
                     황기-감온(甘溫)-益氣固表,   자소-신온(辛溫)-解表理氣
- 味가 같더라도 氣가 다르면 약물의 효능도 다르다.
    예)박하, 소회향  ┏ 공통점:신미약(辛味藥)
                            ┃
                            ┗차이점:박하-신량(辛凉)-해표(解表)-풍열(風熱)의 발산
                               소회향-신온(辛溫)-이기산한(理氣散寒)
   애엽, 고삼 : ┏ 공통점 :고미약
                     ┃
                     ┗차이점:애엽-고온(苦溫)-거한지혈(祛寒止血), 溫經止血
                         고삼- 고한(苦寒)- 청열조습(淸熱燥濕)
- 약물에 따라서는 한 가지 약물이 여러가지 味를 가진 것이 있다.
예) 당귀- 성온(性溫)이고 미는 신감(辛甘)이다.
      甘으로 혈을 윤양(潤養)하고 辛으로 조혈(造血)하게 함.
   육종용- 性溫이고 미는 甘酸鹹이다.
      甘으로 조양(助陽)하고, 酸과 鹹으로 精과 血을 자양(滋養)함.
- 귀경(歸經)
內經: 산(酸)-간(肝), 고(苦)-심(心), 감(甘)-비(脾), 신(辛)-폐(肺), 함(鹹)-신(腎)
- 음양의 편재와 과부족의 치료
예) 신미(辛味)- 폐기(肺氣)의 울(鬱)을 산(散)함.
   감미(甘味)- 비위(脾衛)의 허(虛)를 보(補)함
   간(肝)에 들어가는 약은 식초를 사용해서 굽고,
   신(腎)에 들어가는 약은 소금물로 구우면 작용이 강화된다.    
 
 
3. 승강부침(昇降浮沈)
 
(1) 개 요
많은 藥物은 藥에 따라 昇降浮沈의 作用이 있어 昇은 위로 상승을 하고 降은 아래로 하강을 하며 浮에는 발산의 뜻이 있고 沈은 渗利의 意味를 지닌다.
① 昇 浮 : 昇陽, 發表, 散寒, 宣通 등의 작용
② 降 沈 : 降逆, 潛陽, 瀉下, 渗利 등의 작용
- 병이 체표 근처에 있거나 비교적 상부에 있을 때 승부의 약물을 쓰는 것이 좋다.: 표증(발열, 脈浮)- 발산약- 형개, 박하
- 병이 비교적 하부에 있을 때와 내부에 있을 때 침강의 약물을 쓰는 것이 좋다.: 이실증(복창, 변비 등)- 침강약- 대황, 지실 등.   
- 상역(上逆)하는 경향(딸꾹질, 천식 등)이 있으면 강역(降逆)작용이 있는 대자석, 선복화 등을 쓴다.
- 하함(下陷)하는 경향(오랜 설사에 의한 탈항, 자궁탈수 등)이 있으면 시호, 승마, 갈근 등 승제약(昇堤藥)을 쓴다.
 
(2) 승강부침의 파악 방법
① 약물의 性味에 의해 식별하는 방법
- 온열약 중 味가 辛 또는 甘이면 대개 昇 또는 浮의 작용이 있다; 마황, 형개
- 한량약 중 味가 苦이면 대개 沈降작용이 있다.; 대황, 망초
- 예외도 많다.;
      시호는 한량약에 속하고 味가 苦이므로 침강 작용이 있어야 하지만, 소간해울(疎肝解鬱)작용이 있어서 肝氣를 조달하고, 膽氣를 부드럽게 한다. 또한 간의 淸陽의 氣는 상승하는 작용이 있기 때문에 시호는 淸陽을 昇하게 하는 효능이 있다.   
② 약물 材質의 輕重에 따라 식별하는 방법
- 가벼운 것은 승부에 속한다.; 국화, 상엽, 연교, 상지와 같이 꽃, 잎, 껍질, 가시 등에서 얻은 재질이 가벼운 것.
- 무거운 것은 침강에 속한다.; 소자, 지각, 자석, 석결명과 같이 종자, 과실, 광석, 조개 껍질 등 재질이 무거운 것.
- 예외도 있다.; 선복화는 강기작용이 있으나 사용 부위가 꽃인데도 승부(昇浮)작용은 없다.  
                      창이자는 통규발한(通竅發汗)작용과 산풍거습(散風祛濕)작용은 있으나 용부가 과실인데도 침강작용은 없다.
③ 승강부침 작용 또는 변화
- 수치법(修治法)에 따라; 술-승제(昇堤)작용의 강화,  식초-수렴작용의 강화,
                                     생강즙-발산(發散)작용의 강화,  소금-하행(下行)작용의 강화
- 배합하는 방법에 따라; 많은 승부 약물에 침강 약물을 배합하면 침강약은 승부 약물의 힘을 약화시키거나 없애며, 동시에 침강 약물의 침강 작용도 소실됨.  여러 가지 침강 약물에 승부 약물을 배합하면 승부약은 침강 약물의 침강 능력을 감약시키거나 없애고 동시에 승부약도 승부 능력이 소실됨.
- 인경약을 佐使藥으로 배합함; 길경-승제,  우슬-하행
 
4. 藥物의 귀경(歸經)
 
- 약물이 작용하는 경락(經絡)을 가리킴
- 장부 경락의 이론과 약물의 생체에 대한 반응을 종합하여 얻어낸 것임.
예)  마황-폐경(肺經)- 진해, 거담.
     단삼-심경(心經)- 심혈의 어조(瘀阻)를 없앰.
     백출-비경(脾經)- 脾의 氣를 보함.
      천마-간경(肝經)- 肝風을 진정함.
      현삼-신경(腎經)- 腎陰을 자양함.
- 대부분의 약물은 하나의 장부에만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그 효능으로 볼 때 몇 개의 장부에 동시에 작용한다고 볼 수 있다.
예) 숙지황- 자음, 보혈; 心은 血을 다스리고, 肝은 血을 臟하며, 腎은 陰精을
              臟한다는 이론으로 유추해 볼 때 숙지황은 심경, 간경, 신경에
              작용한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황기- 보기 건비약; 肺는 氣를 주관하고 脾는 氣血을 만들고 키우는
              곳이라는 점에서 황기는 폐경과 비경에 작용한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 약물의 성능이 다르면 같은 장부에 작용하는 약물이라 하더라도 주치하는 증상이 다르다.
예) 폐경에 작용하는 약물; 정력자-폐수(肺水)를 瀉함. 황금-폐화(肺火)를 瀉함.
                               행인-폐기(肺氣)를 강하게 함  황기-肺氣를 보함.
- 성질이 같은 약물이라도 주치증(主治證)이 다르면 작용하는 장부가 다르다.
예) 청열약(淸熱藥); 적작약-양혈행혈(凉血行血)- 肝經,  
                   대청엽-청열해독(淸熱解毒)- 心經, 胃經
                   현삼-자음강화(滋陰降火)- 腎經, 肺經, 胃經   
- 실제 임상에서는 약의 성능과 장부의 경락 이론과의 관계를 잘 파악하여 처방을 응용하여야 한다.
예) 肺의 병증;
     담화(痰火)에 속하는 것-肝經에 들어가는 사하약(瀉下藥)을 배합.
     습담(濕痰)에 속하는 것-脾經에 작용하여 제습담(除濕痰)약을 배합.
 
5. 배합(配合)과 금기(禁忌)
 
(1) 개 요
- 용약의 법칙에 따라 두 가지 이상의 약물을 조합하여 약물의 효능을 충분히 발휘하게 하여 기대한 만큼의 치료 효과를 얻는 방법이다.
예) 황련-목향; 향련환- 세균성 하리에 의한 이급후중(裏急後重)
    황련-오수유; 좌금환- 간염에 의한 복통과 탄산
    황련-육계; 교태환- 심신불교(心腎不交)에 의한 불면증
☞ 이와 같이 성미는 하나이지만 배합하는 약물에 따라 주치도 달라진다.
 
(2) 배합 방법과 금기에 관한 규칙
- 칠정(七情)은 경험적으로 내세운 약물 배합의 법칙임.
① 單行 : 한가지의 藥物로 疾病을 治療하는 것. (例) 獨蔘湯
② 相須 : 效能이 類似한 藥物을 配合했을 때 協同作用을 일으켜
              原來의 功效를 增加시키는 것.- 지모 + 황백
③ 相使 : 藥性이 다른 2種의 藥物을 配合하여 한 種의 藥物이
              主가 되는 藥物의 功效를 增大시키는 것.- 황기 + 복령
④ 相畏 : 藥物을 合用하여 한 藥物의 毒性이나 烈性反應이
              다른 藥物의 抑制 作用으로 減少되는 것.- 반하 + 생강
⑤ 相惡 : 藥性을 合用시 相互 牽制하여 藥物의 作用을 減少시키는 것.
              - 생강 + 황련
⑥ 相殺 : 한 藥物이 다른 藥物의 毒性을 없애는 것.
              -방풍 + 비소, 감수 + 대추   
⑦ 相反 : 藥物을 合用後 人體가 强烈한 毒性反應이나 副作用을 일으키는 것.
              - 오두 + 반하
 - 십팔반(十八反)(相反의 약물은 18종)과 십구외(十九畏)(相畏의 약물은 19종) 등도 정리됨-절대적 아님.
※  [ 配伍禁忌 ]
☞ 十八反 -- 烏頭反 半夏,瓜蔞仁,貝母,白렴(희렴).
                   甘草反 大戟,甘遂,海藻,원花.
                   藜蘆反 五蔘(人蔘玄蔘,丹蔘,沙蔘,苦蔘),細辛,芍藥.
☞ 十九畏 -- 硫黃畏 芒硝, 水銀畏 砒霜, 狼毒畏 密陀僧,巴豆畏 牽牛
                  丁香畏 鬱金, 芒硝畏 三稜, 川烏 草烏畏 犀角,
                  人蔘畏 五靈脂, 肉桂畏 赤石肢.     
 
(3) 배합의 기본
① 약물의 장점이 발휘될 수 있도록 처방한다.
예) 빈랑의 구충(驅蟲)작용- 남과자를 배합하면 구충효과가 증강됨. (相須)
자소엽과 곽향(相使) : 공통점- 해표(解表)작용
-차이점┏자소엽;이기(理氣)작용이 뛰어남- 감기에 의한 흉민(胸悶), 해수
       └  곽향; 화습(化濕)작용이 뛰어남- 감기에 의한 토사(吐瀉)
② 서로 촉진작용이 있는 약물을 파악해 두어야 한다.
예)  천문동과 맥문동 - 윤폐생진(潤肺生津),
      지모와 황백 - 자음강화(滋陰降火),
      금은화와 연교 - 청열해독(淸熱解毒),
      부자와 육계 - 인화귀원(引火歸源) ☜ 相須에 대한 좋은 예
      황기와 당기 - 익기생혈(益氣生血),  
      대황과 지실- 행기통변(行氣通便),
      작약과 감초- 완급지통(緩急止痛) ☜ 相使의 좋은 예
③ 약물이 서로 억제하는 작용을 이용한다.
예) 생강은 반하의 독성을 억제하므로 두 약을 배합하면 강역지구(降逆止嘔)의 작용이 증강됨.☜ 相畏
 대추는 감수의 독성을 약화시키므로 감수와 같이 쓰면 감수의 위장 작용을 완화시켜 수음(水陰)을 몰아낼 수 있음.☜ 相殺
④ 장부의 특징과의 관계를 이용한다.
예)ⓐ 구기자는 肝과 腎을 자보(滋補)하는 작용이 있다.
  신음(腎陰)의 자양- 숙지황, 간혈(肝血)의 자보- 당귀
ⓑ 지모는 폐와 신에 작용하여 자음강화(滋陰降火)하는 작용이 있다.
  신화(腎火)의 사화- 황백 -  사화견음(瀉火堅陰)  
  폐화(肺火)의 사화- 맥문동 -자음윤조(滋陰潤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