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담경의 순행
족소양담경은 외안각(外眼角) 동자료에서 시작하여, 상향 수소양삼초경의 화료혈을 지나 두각부위에 이르러 족양명위경의 두유을
교회한 후 다시 하향(下向)하여 귀뒤에 이르러 수소양삼초경의 각손혈을 교회하고, 두경부를 따라 수소양삼초경의 앞을 지나 수태양소장경의 천용을
교회한다.
더 밑으로 내려가 어깨위에 도달한 후에 되돌아와서, 수소양삼초경의 후면에서
교출하여 배부를 향하여 가서 독맥의 대추혈을 교회하고, 수태양소장경의 병풍혈을 경과하여 쇄골상와 함중으로 진입한다.
일조분지는 귀뒤에서 수소양삼초경의 예풍혈을 지나 귀속 즉 이중(耳中)으로
진입하고, 또 귀앞으로 친출하여 수태양소장경의 청궁, 족양명위경의 하관을 지나서 외안각 (外眼角)의 뒤즉에 이른다. 또 다른 일조분지는
외안각에서 갈라져 하향(下向)하여 족양명위경의 대영혈 부위에 도달하여, 수소양삼초경과 회합 (會合)한후 안정 즉 눈동자의 하면에 까지
온다.
다시 하향하여 협차혈를 지나 경부에 이르러 상술한 맥과 쇄골상와에서
회합한후, 다시 흉중으로 하향하여 심부에서 수궐음심포경의 천지혈을 지나 횡격막을 통과해서 간과 연락되며, 담에 통속한다.
그리고난 후 다시 협늑의 이면을 따라 서혜부로 나와서 음모의 주위를 환요하고
횡향하여 관관절속으로 진입한다. 또 다른 직행(直行)하는 일조분지는 쇄골상와에서 하향(下向 )하여 액부에 이르러 흉측을 따라 계늑부를
지나서 족궐음간경의 장문(章門 )을 교회 한후, 또 족태 양방광경의 상료, 차료와 상교하고 하향하여 관관절부위에서 회합한다.
여기서 하향하여 대퇴바깥족을 따라 슬관절의 외측(外側)으로 나와서 아래로
비골의 전면에 분포되며, 다시 직하 (直下) 하여 비골하단의 절골부위에 도달한다. 다시 외과의 앞으로 내려가 족배(足背)의 상면을 따라서
네번째발가락 즉 제4지 외측말단의 규음혈에서 끝난다.
또 다른 하나의 분지는 족배상에서 분출하여 제1~2중족골 사이를 따라
엄지발가락 즉 무지의 말단으로나오고, 되돌아와서 무지갑을 관통하여 무지상의 총모부 즉 털이 난 부위에 분포한다.
나. 담경의 해설
1). 담경은 담계통과 측두, 견갑, 협근, 측복, 하지 외측 등 주로
인체의 측면 병과 관절부의 질병을 다스리며 음실증의 기능을 조절한다.
2). 담은 고전에서 청정 지관이라고도 했으며, 모든 장기를 감시하고 모든
결단을 담에서 취한다고도 했다. 그리고 간. 담은 음양 표리 관계로 상호간에 기능을 유지하고 있다. 또한 간허는 담실, 담허는 간실로
나타나고 있다. 실한 경맥에서는 반응점이 나타난다.
3). 담경의 적응증 담낭은 간장의 하면의 담당고에 끼어 있는 가지
모양의 주머니인데 담즙을 잠시 저장하고 농축한다. 이 담즙을 옮기는 담낭관은 간장에서 오는 총간관과 합쳐서 총담관이 되고, 췌장에서
나오는 췌관과 합류하여 12지장의 대12지장 유두에서 개구한다. 담즙은 간장에서 1일에 500∼1,000 ㎖정도 분비되고 담낭에 저장된다
알칼리성이며 그 맛은 쓰다 성분은 수분과 담즙 염산과 담즙 색소이다. 담즙의 작용은 담즙 염산에 의해서 지방을 유화하고 그 소화를 돕는다
* 담로(담도) 간장에서 생산. 분비된 담즙을 십이지장에 옮기는
관이다. 간소엽 안의 모세담관에서 시작되어 소엽간담관 → 간관 → 총간관 → 담낭관 → 총담관(길이는 6 - 8cm정도, 직경 1 cm정도)
→대12지장 유두로 이어진다. 담로와 담낭에는 담즙의 성분으로 돌이 만들어져 이 담석 때문에 심한 통증이 일어난다, 그리고 담의 배설이
잘 안되면 황달이 생긴다. 고전에서는 담에 대해서 중정지관이며 결딴을 내린다 하고, 모든 장부는 담에서 그 결딴을 얻는다고 하였다.
다. 담경의 허실 구별
1. 담허는 간실에서 구별하고 담실은 다음과 같다.
1. 일월, 담유, 풍지, 견정, 구허, 양보, 임읍에서 압통. 2. 실하면 기가 역하여 궐하여 지고 허하면 발이
오므라들고 연약하여 일어설 수 없다. 3. 제 4지, 3지의 상처.
2. 담경의 허실 증상
1). 담이 실한 경우 담실은 음실증에 속하며, 간허증에 속한다. 편두통, 견갑통(견정의 과민
압통점의 경우),늑간 신경통, 좌골 신경통, 우측 발목이 삐었을 경우, 관절염(루머티즘은 제외), 요통, 담석통, 근육통, 다면정, 특히 모든
통증과 음실증 중풍이나 전신 마비, 백내장등
2). 담이 허한 경우 담허는 좌측에 있어서는 양실증이 많으며, 우측의 경우에서는 허한 경향이
많다. 또한 담허는 신실에 해당된다. 불면증, 황달, 소화불량, 신경쇠약, 신경과민, 담력이 약하고 결단력이 부족한 것, 우측의 모든
통증, 우측 발목이 삔 것, 저혈압, 피부가 거친 것, 두드러기, 팔다리 저린 것 등이다. |